Seonb2n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 설계07

트랜잭션 트랜잭션이란 무엇인가 트랜잭션은 여러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묶어서 처리하는 메커니즘이다.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가 일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ACID 속성 트랜잭션의 안전 보장은 ACID라는 네 가지 속성으로 설명된다: 원자성 (Atomicity) 트랜잭션 내의 모든 작업이 전...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 설계06

파티셔닝 파티셔닝 개요 파티셔닝의 정의와 목적 파티셔닝(Partitioning)은 대규모 데이터셋을 여러 작은 부분집합으로 나누어 여러 노드에 분산 저장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단일 머신으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대규모 데이터나 높은 쿼리 처리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핵심 전략입니다. 주요 목적: 확장성: 데이터와 쿼리 부하를 여러 노...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 설계05

복제 데이터 복제란? 데이터 복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러 머신에 동일한 데이터의 복사본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복제의 목적 데이터 복제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신뢰성 향상: 하드웨어 장애나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한 데이터 유실을 방지합니다. 여러 복제본을 유지함으로써 단일 장애점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가용성 증대...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 설계02

데이터 모델과 질의 언어 데이터 모델은 해결하려는 문제를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친다. 관계형 모델과 문서 모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근원은 비즈니스 데이터 처리에 있다. 트랜잭션 처리, 일괄 처리가 핵심 사용 사례다. NoSQL 매우 높은 쓰기 처리량 달성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보다 쉽게 하기 위해서 ...